2023. 2. 14. 15:19ㆍ카테고리 없음
▣ 열전도율(W/mk)
물체의 열전달 정도를 비교하는 기호
W(와트)/m(미터)∙k(켈빈)
K(켈빈) = ℃ 즉 W/mk = W/m℃
단일 재료 내에서 열 전달 비율을 나타냄
어떠한 재료의 K값이 1이라면
1㎥의 재료의 반대면과 온도 1℃ 당 1와트 비율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W/mk에서 K값이 낮을수록 재료는 열을 적게 전달함을 나타냅니다.
⌜열전도율 ÷ 두께 = 열관류율⌟
쇠 젓가락 K값이 높고, 나무 젓가락은 K값이 낮음
▣ 열관류율(W/㎡k, U값)
관류[명사] - 하천 따위가 어떤 지역을 꿰뚫어 흐름.
열관류(熱灌流)[명사] - 고체면 양쪽에 유체가 붙어 있을 때, 높은 온도 쪽에서 고체면을 거쳐 낮은 온도 쪽 유체로 열이 옮겨 가는 현상.
열관류 저항 (熱貫流抵抗) [건설] 열관류 현상에서 열이 이동하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낸 값. 열전도 저항과 열전달 저항의 합으로 나타낸다.
열관류 계수 (熱灌流係數) [물리] 열관류가 일어날 때의 열 이동률.
사전적 의미로 해석해 보면 열이 벽을 꿰뚫고 이동한다.
즉, 벽을 뚫고 열이 이동하는데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한다.
해석 하시면 되겠습니다.
열관류율(W/㎡k), 열전도율(W/mk)는 m,㎡만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.
길이가 면적으로 바뀌었음을 이해하시고 면적은 벽을 나타 낸다 이해 하시면 됩니다.
예제) 비드법1호 두께 10cm인 단열재의 열관류율? solve) 0.034 W/mk ÷ 0.1m = 0.34 W/㎡k |

▣ 열저항(㎡K/W, R값)
열의 전달을 방해하는 성질을 수치화한 것입니다.
열저항 1 ÷ 열관류율입니다. 즉, 열관류율의 역수입니다.
두께 ÷ 열전도율과 같습니다.
복합재료의 열관류율은 열저항의 합계를 구한 후 열관류율(역수)를 구하는 것입니다.
복합재료의 열관류율은 각각 재료의 열관류율을 합산하면 안됩니다.
